728x90
[머니투데이 조성훈기자][연말목표 M클라우드 서비스 준비..."스마트폰~스마트TV까지 삼성기기 묶는다"]
애플의 아이클라우드와 유사한 삼성의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가 구체화되고 있다. 삼성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TV 등 자사제품을 아우르는 본격적인 N스크린(복수기기 이용) 서비스를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연말 시험서비스를 한 후 내년 초 공식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가칭)'S클라우드'를 개발중이다.
이 는 삼성전자의 모바일 기기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웹에 접속해 각종 콘텐츠를 이용하고 저장하도록 하는 개념이다. 특정 기기에 앱형태로 선탑재되거나 별도 설치해야했던 삼성전용 서비스를 웹접속만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하나의 기기에서만 이용할 수 있던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이어받아 즐기는 N스크린 서비스도 가능하다.
가령 삼성의 갤럭시S2 사용자라면 자신이 평소 듣던 음악이나 사진, 동영상을 S클라우드에 자동저장하고 이를 태블릿인 갤럭시탭은 물론 PC나 프린터, 심지어 스마트TV 등 가전제품에서도 자유롭게 내려받아 감상하는 형태다. 업무용 파일이나 전자책, 자주쓰는 앱 등 다른 콘텐츠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갤럭시S 시리즈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뮤직(음악), 소셜(SNS), 리더스(미디어/전자책), 게임 등 4대 허브와 '삼성앱스토어', 무료메시징 서비스인 '챗온' 등이 모두 클라우드화된다.
S 클라우드는 애플의 아이클라우드(iCloud)에 대비한 전략이기도 하다. 앞서 애플은 지난 5월 연례 개발자대회 WWDC에서 음악과 앱, 문서 등의 백업과 동기화 기능이 골자인 아이클라우드를 발표했다. 이는 10년이상 디지털정보의 허브(HUB) 역할을 해온 PC를 대체하는 서비스로 애플기기 사용자를 묶어두겠다는 의미다. 아이클라우드는 애플의 새 운영체제인 'iOS5'부터 기본 탑재되며 9월 등장할 아이폰 차기작의 핵심 서비스가 될 전망이다.
S클라우드는 애플의 아이클라우드와 비슷하지만, 더 넓은 제품군을 포괄하며 단말기를 외부에서 원격 조작하는 식으로 차별화를 시도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양한 서비스들이 모두 클라우드 기반으로 합쳐지는 만큼 장기적으로 고객 이용행태를 분석해 새로운 부가서비스를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는 "애플은 10년 전부터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도해왔고 구글 역시 최근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통해 애플을 능가하는 서비스를 구축했다"면서 "다양한 IT제품군을 보유한 삼성이 추구하는 컨버지드(융합) 서비스로 다양한 IT기기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웹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클라우드는 삼성전자 내에서 바다 운영체제(OS)와 삼성앱스 등을 담당하는 미디어솔루션센터(MSC)와 관계사인 IT서비스업체 삼성SDS가 개발중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인 아마존과 계약해 이 회사의 서버장비를 이용하기로 했다.
삼성SDS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S클라우드는 정식 명칭은 아니며 연말까지 개발과 테스트를 마치고 내년초 공식서비스하는 것이 목표로 현재 개발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SDS는 현재 삼성전자를 포함한 그룹 계열사들의 IT인프라를 클라우드화하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며 현재 클로즈드베타서비스(내부 테스트)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쉽 게 말하면, 삼성전자 내부에 개개인의 업무용 PC를 없애고 이를 대체하는 씬클라이언트(Thin Client, 본체없이 모니터와 키보드 중심의 간소화된 단말기)로 내부 IT시스템에 접속해 업무용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결과물을 저장해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 효율도 높이는 방식이다.
http://news.nate.com/view/20110718n02150?mid=n0600
애플의 아이클라우드와 유사한 삼성의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가 구체화되고 있다. 삼성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TV 등 자사제품을 아우르는 본격적인 N스크린(복수기기 이용) 서비스를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연말 시험서비스를 한 후 내년 초 공식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가칭)'S클라우드'를 개발중이다.
이 는 삼성전자의 모바일 기기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웹에 접속해 각종 콘텐츠를 이용하고 저장하도록 하는 개념이다. 특정 기기에 앱형태로 선탑재되거나 별도 설치해야했던 삼성전용 서비스를 웹접속만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하나의 기기에서만 이용할 수 있던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이어받아 즐기는 N스크린 서비스도 가능하다.
가령 삼성의 갤럭시S2 사용자라면 자신이 평소 듣던 음악이나 사진, 동영상을 S클라우드에 자동저장하고 이를 태블릿인 갤럭시탭은 물론 PC나 프린터, 심지어 스마트TV 등 가전제품에서도 자유롭게 내려받아 감상하는 형태다. 업무용 파일이나 전자책, 자주쓰는 앱 등 다른 콘텐츠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갤럭시S 시리즈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뮤직(음악), 소셜(SNS), 리더스(미디어/전자책), 게임 등 4대 허브와 '삼성앱스토어', 무료메시징 서비스인 '챗온' 등이 모두 클라우드화된다.
S 클라우드는 애플의 아이클라우드(iCloud)에 대비한 전략이기도 하다. 앞서 애플은 지난 5월 연례 개발자대회 WWDC에서 음악과 앱, 문서 등의 백업과 동기화 기능이 골자인 아이클라우드를 발표했다. 이는 10년이상 디지털정보의 허브(HUB) 역할을 해온 PC를 대체하는 서비스로 애플기기 사용자를 묶어두겠다는 의미다. 아이클라우드는 애플의 새 운영체제인 'iOS5'부터 기본 탑재되며 9월 등장할 아이폰 차기작의 핵심 서비스가 될 전망이다.
S클라우드는 애플의 아이클라우드와 비슷하지만, 더 넓은 제품군을 포괄하며 단말기를 외부에서 원격 조작하는 식으로 차별화를 시도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양한 서비스들이 모두 클라우드 기반으로 합쳐지는 만큼 장기적으로 고객 이용행태를 분석해 새로운 부가서비스를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는 "애플은 10년 전부터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도해왔고 구글 역시 최근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통해 애플을 능가하는 서비스를 구축했다"면서 "다양한 IT제품군을 보유한 삼성이 추구하는 컨버지드(융합) 서비스로 다양한 IT기기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웹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클라우드는 삼성전자 내에서 바다 운영체제(OS)와 삼성앱스 등을 담당하는 미디어솔루션센터(MSC)와 관계사인 IT서비스업체 삼성SDS가 개발중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인 아마존과 계약해 이 회사의 서버장비를 이용하기로 했다.
삼성SDS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S클라우드는 정식 명칭은 아니며 연말까지 개발과 테스트를 마치고 내년초 공식서비스하는 것이 목표로 현재 개발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SDS는 현재 삼성전자를 포함한 그룹 계열사들의 IT인프라를 클라우드화하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며 현재 클로즈드베타서비스(내부 테스트)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쉽 게 말하면, 삼성전자 내부에 개개인의 업무용 PC를 없애고 이를 대체하는 씬클라이언트(Thin Client, 본체없이 모니터와 키보드 중심의 간소화된 단말기)로 내부 IT시스템에 접속해 업무용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결과물을 저장해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 효율도 높이는 방식이다.
http://news.nate.com/view/20110718n02150?mid=n0600
'모바일 최신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순정’이 '대세' (0) | 2011.07.18 |
---|---|
아이폰5는 SK텔레콤이 우세? (0) | 2011.07.18 |
[단독]'위치정보 수집' 애플·구글 본사 조사 결과는... (0) | 2011.07.14 |
"아이폰 위치추적 집단소송 1인당 100만원씩 청구" (0) | 2011.07.14 |
[단독] 삼성전자, 특허전문가 퀄컴 前부사장 영입..애플 소송전 (0) | 201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