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 최신기사

휴대폰 제조사, 블랙리스트 약? 독?…대응 마련 비상

by 인테리어전문햇님 2011. 5. 28.
728x90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사에 등록되지 않은 휴대폰도 개통이 가능한 ‘블랙리스트’ 제도를 도입키로 하면서 휴대폰 제조사들이 대응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겉으로는 구체적인 정부의 시책이 나올 때까지는 일단 지켜보자는 입장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유통 구조 변화에 따른 손익 계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방통위는 이르면 내주 발표하는 통신요금 인하안에 블랙리스트 제도를 포함시키고 내달 구체적인 방안 수립을 위한 전담반을 발족시킬 방침이다.

삼성전자·LG전자·팬택 등 국내 휴대폰 제조사들은 이에 대해 “정부의 시책이 구체적으로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지켜보는 입장”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휴대폰업체 한 관계자는 “블랙리스트 제도는 세부 운영규정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 천양지차가 될 수 있다”며 “통신사들이 현재의 유통 기득권을 놓지 않으면 크게 달라질 것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제조사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은 이통사가 현재 보조금을 지급하며 판매하는 ‘화이트리스트’ 방식의 유통 비중을 얼마나 줄일 것인가 하는 점이다. 향후 블랙리스트 세부규정을 통해 이 부분이 조정되지 않으면 통신사가 직접 파는 휴대폰 물량이 가전매장에서 파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팔려 제도 자체가 유명무실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관계자는 “가전매장 판매 시에는 통신사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고, 일시불로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70만~80만원에 달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선뜻 구매하기 힘들 것”이라며 “결국 통신사 보조금을 받고 통신요금에 합산해 할부로 구매하는 기존 방식을 선호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방통위가 이통사의 유통물량 축소에 대한 부분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지금처럼 요금 인하안에 구색 맞추기 식으로 끼워져 있는 정도면 아무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이 때문에 유럽 시장처럼 가전매장이나 양판점에서 유통되는 ‘언록(un-locked)’ 휴대폰 비중이 절반만 돼도 제조사들이 시장에서 지금보다 훨씬 힘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겉으론 다소 미온적이지만 휴대폰 업체들의 대응책 마련은 가속도를 내는 양상이다.

삼 성전자의 ‘IT모바일샵’, 팬택의 ‘라츠’ 등 제조사가 직접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모바일 IT전문 매장도 블랙리스트 제도 도입에 따른 유통 구조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LG전자도 이와 관련 새로운 모바일 판매점을 도입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LG처럼 전국 가전매장이 없는 단말업체들은 하이마트 등과 제휴하는 시나리오도 그리고 있다.

중국산 저가 휴대폰 대량 유입 등 블랙리스트 제도가 끼칠 악영향에도 예의주시 중이다.

한 관계자는 “아직 국내 소비자들이 고급 휴대폰에 익숙해 있지만 블랙리스트 제도가 시행되면 중국산 10만원대 스마트폰이 대량 유통될 가능성도 높다”며 “국내 제조사의 보급형 모델로도 승부가 어려운 가격이라 골칫거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