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제 KT 고객은 서울과 수도권 전 노선에서 무선인터넷을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KT(대표 이석채)는 서울 및 수도권 전 노선 지하철 전동차에 퍼블릭 에그를 통한 와이파이 구축을 완료, 모든 지하철 전동차가 완벽한 와이파이존으로 거듭났다고 25일 밝혔다.
이동 와이파이는 퍼블릭 에그를 통해 와이브로를 와이파이 신호로 바꿔주는 것이다. KT는 서울메트로 1, 2, 3, 4호선, 도시철도공사 5, 6, 7, 8호선, 코레일 1호선, 중앙/경의/과천/분당/일산/경춘선, 메트로9 9호선, 인천메트로 인천선, 공항철도 등 서울 수도권 전 노선과 부산 4호선에 퍼블릭 에그를 구축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세계 최초로 와이파이에 핸드오버 기능을 적용한 ‘올레 와이파이 릴레이 서비스’를 통해 수도권 지하철 역사 전 구간에서 승강장과 전동차 이동 중에도 끊김 없이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관련기사: “이제 이동하면서 와이파이 쓰세요”>
회사측에 따르면, ‘올레 와이파이 릴레이서비스’는 모든 올레 와이파이존의 AP를 NAT모드로 처리하고, 버추얼 라우터 기술을 도입해 인접한 와이파이AP 또는 퍼블릭에그 간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했다. 이를 통해 기존 고정형 서비스였던 와이파이의 한계를 넘어섰으며, 접속 불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 신호를 잡는 간섭현상도 현저히 낮아졌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지난해 이미 지하철과 코레일 전 역사에 와이파이존을 구축한 KT는 지하철 역사뿐만 아니라 전동차 안에서도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통신사라고 강조했다. 이는 런던올림픽을 위해 2012년 120개의 지하철역사에 와이파이존 구축을 준비하고 있는 영국에 비해 훨씬 앞선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아울러 KT는 퍼블릭 에그의 데이터 처리 용량을 높이기 위해 8월 말까지 지하철 와이브로 기지국 용량을 현재보다 3배 증설, 지하철 이용 고객의 무선인터넷 환경을 더욱 향상시킬 예정이다.
KT는 현재 서울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전국 지하철 역사에서 올레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동부엔콜과 한강유람선 등에서도 이동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올 10월부터는 공항버스뿐 아니라 수도권 광역버스에도 와이파이를 구축할 계획이다.
KT 김성만 네트워크부문장은 “전동차 안에서의 와이파이 구축으로 고객들은 이동하면서도 무선인터넷을 빠르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KT는 고객들이 언제 어디서나 고속의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KT는 24일 현재 전국에 국소 기준 8만 2900곳, AP 기준 15만 3800개의 올레 와이파이를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KT(대표 이석채)는 서울 및 수도권 전 노선 지하철 전동차에 퍼블릭 에그를 통한 와이파이 구축을 완료, 모든 지하철 전동차가 완벽한 와이파이존으로 거듭났다고 25일 밝혔다.
이동 와이파이는 퍼블릭 에그를 통해 와이브로를 와이파이 신호로 바꿔주는 것이다. KT는 서울메트로 1, 2, 3, 4호선, 도시철도공사 5, 6, 7, 8호선, 코레일 1호선, 중앙/경의/과천/분당/일산/경춘선, 메트로9 9호선, 인천메트로 인천선, 공항철도 등 서울 수도권 전 노선과 부산 4호선에 퍼블릭 에그를 구축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세계 최초로 와이파이에 핸드오버 기능을 적용한 ‘올레 와이파이 릴레이 서비스’를 통해 수도권 지하철 역사 전 구간에서 승강장과 전동차 이동 중에도 끊김 없이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관련기사: “이제 이동하면서 와이파이 쓰세요”>
회사측에 따르면, ‘올레 와이파이 릴레이서비스’는 모든 올레 와이파이존의 AP를 NAT모드로 처리하고, 버추얼 라우터 기술을 도입해 인접한 와이파이AP 또는 퍼블릭에그 간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했다. 이를 통해 기존 고정형 서비스였던 와이파이의 한계를 넘어섰으며, 접속 불가능한 와이파이 네트워크 신호를 잡는 간섭현상도 현저히 낮아졌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지난해 이미 지하철과 코레일 전 역사에 와이파이존을 구축한 KT는 지하철 역사뿐만 아니라 전동차 안에서도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통신사라고 강조했다. 이는 런던올림픽을 위해 2012년 120개의 지하철역사에 와이파이존 구축을 준비하고 있는 영국에 비해 훨씬 앞선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아울러 KT는 퍼블릭 에그의 데이터 처리 용량을 높이기 위해 8월 말까지 지하철 와이브로 기지국 용량을 현재보다 3배 증설, 지하철 이용 고객의 무선인터넷 환경을 더욱 향상시킬 예정이다.
KT는 현재 서울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전국 지하철 역사에서 올레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동부엔콜과 한강유람선 등에서도 이동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올 10월부터는 공항버스뿐 아니라 수도권 광역버스에도 와이파이를 구축할 계획이다.
KT 김성만 네트워크부문장은 “전동차 안에서의 와이파이 구축으로 고객들은 이동하면서도 무선인터넷을 빠르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KT는 고객들이 언제 어디서나 고속의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KT는 24일 현재 전국에 국소 기준 8만 2900곳, AP 기준 15만 3800개의 올레 와이파이를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모바일 최신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삼성전자도 네트워크 비용 분담해야” (0) | 2011.08.25 |
---|---|
잡스 퇴진한 애플의 미래, 흐림? 맑음? (0) | 2011.08.25 |
7배 빠른 `LTE폰` 온다…SKT·LG유플러스 다음달부터 출시 (0) | 2011.08.25 |
[잡스 사임]잡스 물러난 애플 어디로... (0) | 2011.08.25 |
잡스, 14년간 연봉 1달러…뭔 돈으로 살았을까 (0) | 2011.08.25 |